글로벌 타이어코드 시장 1위 자리를 두고 경쟁 중인 효성과 코오롱인더스트리가 나란히 부진한 2분기 실적을 기록했으나 하반기 실적 반등에 자신감을 보이고 있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타이어코드를 비롯한 에어백 등 양사의 산업자재 부문 영업이익은 올해 2분기 847억원으로 전년 동기 1142억원보다 25.8% 감소했다.
효성의 경우 산업자재 부문 영업이익이 지난해 2분기 736억원에서 올해 2분기 525억원으로 28.7% 감소했으며 코오롱인더스트리의 경우 같은 기간 406억원에서 322억원으로 20.7% 줄었다.효성의 산업자재 부문 영업이익률 역시 지난해 2분기 11.8%에서 올해 2분기 8.7%로 3.1%포인트 줄었다. 코오롱인더스트리의 영업이익률은 9.3%에서 7.6%로 1.7%포인트 감소했다.
효성
이처럼 양사는 주요 사업 중 하나인 산업자재 부문에서 비교적 부진한 성적표를 받았지만 올해 하반기부터 다시 실적 반등에 성공할 것으로 자신하고 있다.
특히 글로벌 타이어코드 및 에어백 경쟁사의 파산으로 공급이 줄어 효성과 코오롱인더스트리가 수혜를 받을 것으로 보고 있다.
코오롱인더스트리 관계자는 "미국 타이어코드 업체 파산으로 공급이 3만t 가량 줄어 수혜를 받아 3분기 실적이 2분기보다는 좋아질 것"이라며 "지속적인 판가 인상과 비용 절감을 통한 원가경쟁력 향상으로 고수익 시장에서의 실적 확대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에어백 시장 역시 글로벌 경쟁사의 파산으로 인한 반사이익이 기대되는 상황이다.
세계 2위 에어백 제조사인 일본 다카다는 제품 결함으로 발생한 사망 사고와 리콜 사태 등으로 최근 파산을 신청했다.
업계에서는 이로 인해 에어백 역시 타이어코드와 마찬가지로 수급이 타이트해질 것으로 보고 있다.
코오롱인더
이에 코오롱인더스트리는 지난해 말부터 베트남에 타이어코드 생산시설 구축에 나서 내년 하반기부터 본격적인 양산에 나설 예정이다. 이로 인해 코오롱인더스트리의 타이어코드 생산능력은 기존 한국과 중국 공장 7만7000t에 베트남 신규 물량이 더해져 11만3000t까지 늘어나게 된다.
효성 역시 베트남 타이어코드 생산공장에 스마트팩토리를 구축해 생산공정 혁신에 나섰다. 이를 통해 생산공정 설비와 운전 현황을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분석해 생산공정 역량을 높이는 인프라를 구축하는 데 성공했다.
업계 관계자는 "글로벌 경쟁사 등 외부 경영환경이 변하면서 글로벌 수급에 변화가 예상되는 상황"이라며 "생산설비 증설 및 공정 역량 강화에 나서면서 국내 업체들의 글로벌 시장 점유율도 더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타이어코드란
초기의 자동차용 타이어는 순수한 고무로만 만들어졌으나 짧은 수명을 해결해야 하는 숙제가 있었다. 그래서 고무 내부에 섬유 소재의 재료를 넣어 내구성을 높였는데, 이것이 지금의 타이어코드의 시초가 되었다. 처음에는 타이어코드로 굵은 면사를 엮은 재료를 썼는데, 타이어코드끼리 마찰로 쉽게 닳아 버리곤 했다. 그 후 내구성과 섬유 자체의 인장강도, 내수성과 열에 대한 저항능력 등의 다양한 필요가 생기고, 한편으로는 다양한 고분자 합성 기술이 발달하면서 레이온·나일론(폴리아마이드)·폴리에스터 등의 합성섬유들이 차례로 쓰이기 시작했다. 오늘날에 주로 사용되는 타이어코드의 재료로는 폴리에스터·나일론 등이 있다.
현재 자동차용 레이디얼타이어코드의 재료로는 형태안정성이 우수하며 가격이 비교적 저렴한 폴리에스터코드가 90%로 주종을 이루고 있다. 나일론코드는 강도와 내열성 등에 강점이 있어 트럭이나 버스, 중장비나 항공기의 바이어스타이어에 주로 이용되고 있으며, 자전거나 오토바이 등의 타이어에도 주로 사용된다.
효성과 코오롱 등 대한민국 기업들이 세계 시장에서 수위를 점하고 있다. 특히 효성은 2005년 현재 폴리에스터 타이어코드 부문에서 세계 시장점유율 1위를 고수하고 있으며, 폴리에스터, 나일론, 스틸코드 이 세 가지 주요 타이어 보강재를 모두 생산하는 세계 유일의 기업이다.
초기의 자동차용 타이어는 순수한 고무로만 만들어졌으나 짧은 수명을 해결해야 하는 숙제가 있었다. 그래서 고무 내부에 섬유 소재의 재료를 넣어 내구성을 높였는데, 이것이 지금의 타이어코드의 시초가 되었다. 처음에는 타이어코드로 굵은 면사를 엮은 재료를 썼는데, 타이어코드끼리 마찰로 쉽게 닳아 버리곤 했다. 그 후 내구성과 섬유 자체의 인장강도, 내수성과 열에 대한 저항능력 등의 다양한 필요가 생기고, 한편으로는 다양한 고분자 합성 기술이 발달하면서 레이온·나일론(폴리아마이드)·폴리에스터 등의 합성섬유들이 차례로 쓰이기 시작했다. 오늘날에 주로 사용되는 타이어코드의 재료로는 폴리에스터·나일론 등이 있다.
현재 자동차용 레이디얼타이어코드의 재료로는 형태안정성이 우수하며 가격이 비교적 저렴한 폴리에스터코드가 90%로 주종을 이루고 있다. 나일론코드는 강도와 내열성 등에 강점이 있어 트럭이나 버스, 중장비나 항공기의 바이어스타이어에 주로 이용되고 있으며, 자전거나 오토바이 등의 타이어에도 주로 사용된다.
효성과 코오롱 등 대한민국 기업들이 세계 시장에서 수위를 점하고 있다. 특히 효성은 2005년 현재 폴리에스터 타이어코드 부문에서 세계 시장점유율 1위를 고수하고 있으며, 폴리에스터, 나일론, 스틸코드 이 세 가지 주요 타이어 보강재를 모두 생산하는 세계 유일의 기업이다.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엔젤리너스 착한가격 천사커피 천사주스 (0) | 2017.08.23 |
---|---|
요일마다 변신하는 도시락 CU(씨유)에서 만나세요! (0) | 2017.08.21 |
양키캔들 쿨세일 티라이트로 올라이트(All Right) 1+1 증정 (0) | 2017.08.17 |
비오는 날에 태극기 게양 유래 다는법 (0) | 2017.08.15 |
코스트코 휴무일 휴무지점 체크하세요 (0) | 2017.08.13 |